[뉴스포커스] 델타변이·일상감염 확산세…4차 유행 정점은?<br /><br /><br />어제 하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,987명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방역당국은 현재의 방역조치로는 확산세 차단이 어렵다고 판단해 추가 조치를 신속하게 도입할 방침인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들, 김경우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, 김민하 시사평론가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오늘 오전 9시 반에 발표된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1,987명으로 어제보다는 조금 줄긴 했지만, 여전히 2천 명대를 기록했습니다. 수도권, 비수도권 할 것 없이 확산세가 계속되고 있는 것 같은데요. 현재 코로나19 상황,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?<br /><br /> 수도권 4단계는 한 달이 넘었고요. 비수도권 3단계는 2주가 넘었습니다. 거리두기 강화에도 최근 이동량이 오히려 더 늘었다고 하는데, 휴가철 영향이라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현재 방역당국은 밀접접촉자의 경우 코로나 검사를 받고 음성이 나와도 일정 기간 자가격리를 해야 하는데요. 최근 밀접 접촉의 정의를 바꿔야 한다는 얘기가 있던데, 이건 어떤 얘긴가요?<br /><br /> 방역당국이 현행 거리두기 단계에 한계점이 있다고 인정하고 추가 조치를 신속하게 도입하겠다고 했는데요. 어떤 방안들이 검토가 되고 있나요?<br /><br /> 현재 방역체계가 델타변이가 우세종이 아닐 때 만들어졌다보니 추가 대책이 아닌 완전히 새로운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. 이 부분은 어떻게 보세요?<br /><br /> 4차 대유행이 길어지면 의료시스템이 붕괴될 수 있다는 얘기도 있는데요. 현재 위중증 환자들도 많이 늘어난 상황이죠? 현재 병상은 어떤 상황인가요?<br /><br /> 병상이 부족해지면 경증환자들은 자가치료를 확대할 수밖에 없을 것 같은데요. 정부가 자가치료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합니다. 자가치료 대상이 늘면 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문제는 없겠습니까?<br /><br /> 최근 들어 요양병원·요양시설의 '돌파감염' 사례가 잇따르자 정부가 이들 병원과 시설의 종사자와 면회객을 대상으로 다시 방역 수칙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는데요. 다시 면회가 금지가 된 건가요?<br /><br /> 제주도에서 20대가 모더나 백신 접종 후 혈전증 증상을 보여 질병청에 인과성 확인 검사를 의뢰했으나 받아주지 않았다고 하는데요. 어떤 얘기인가요?<br /><br /> 보통 혈전증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부작용으로 알고 있는데요. 모더나에서도 혈전증이 생길 수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 최근 잔여백신 앱으로 검색해 보면 AZ 잔여백신이 많이 보이는데요. 정부가 백신 폐기 최소화를 위해 AZ 잔여백신을 시행했다고 하는데, AZ가 50세 이상만 맞아야 하다 보니 실질적으로 맞을 수 있는 대상이 너무 적습니다. AZ 백신 접종 대상 기준을 낮추는 것에 대해 어떻게 보세요?<br /><br /> 백신 공급에 차질이 생기다 보니 1차로 화이자나 모더나를 맞으신 분들의 2차 접종 시기가 6주로 늦춰지면서 2차 접종이 늦어지면 효과가 없는 것 아니냐며 걱정하시는 분들 많으시던데요. 6주도 괜찮은지, 그렇다면 AZ처럼 교차접종을 하는 건 어떤지 궁금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